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플라스미드란 무엇인가

by 여기빛나는 2023. 9. 13.
반응형

플라스미드는 세균의 세포 내에 존재하는 원형 DNA 분자로, 세균의 생존에 필수적이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플라스미드는 세균에게 다양한 유익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종의 세포 내에도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플라스미드는 유전공학에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매개체로 사용됩니다.

 

1973년, 잭 코헨과 허버트 보이어는 제한효소, 플라스미드, DNA 연결 효소를 이용하여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특정 유전자를 다른 생물의 DNA에 삽입하는 기술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전자 치료, 식물 개량, 산업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플라스미드 벡터의 구성 요소와 역할

플라스미드 벡터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서 유전자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매개체입니다. 플라스미드 벡터는 삽입될 유전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미드 벡터는 복제 기점(origin of replication), 프로모터(promoter), 항생제 내성 유전자(antibiotic resistance gene)를 가지고 있습니다.

복제 기점은 플라스미드의 복제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프로모터는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항생제 내성 유전자는 플라스미드가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플라스미드 벡터의 응용 분야

플라스미드 벡터는 유전자 치료, 식물 개량, 산업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유전자 치료에서는 플라스미드 벡터를 이용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교정하거나 정상적인 유전자를 도입합니다. 식물 개량에서는 플라스미드 벡터를 이용하여 식물의 특성을 개선합니다. 산업 생산에서는 플라스미드 벡터를 이용하여 특정 단백질이나 물질을 생산합니다.

 

플라스미드의 다양한 형태

열린 원형(nicked open-circular) : DNA가 원형으로 존재하나 한 가닥에 틈(Nick)이 존재합니다. 틈은 DNA 복제 중 발생할 수 있으며, DNA 복구 효소에 의해 복구될 수 있습니다.

 

안정된 원형(relaxed circular) : DNA 이중나선이 틈 없이 원형으로 존재하며, 효소에 의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합니다. 안정된 원형은 DNA 복제 중 가닥이 꼬이거나 이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효소에 의해 유지됩니다.

 

선형(linear) : DNA가 원형이 아닌 선형으로 존재합니다. 선형 플라스미드는 세균의 세포막이나 세포벽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나선 또는 닫힌 원형(supercoiled, or closed-circular) : DNA 가닥이 꼬여 가장 뭉친 상태로 존재합니다. 초나선 플라스미드는 세균의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돕습니다.

 

변성된 초나선(supercoiled denatured) : 초나선 형태를 이루나 변성된 부분이 있어 초나선에 비해 덜 밀집된 형태입니다. 변성된 초나선은 세균의 세포 내에서 DNA 복제 또는 유전자 전사와 같은 활동이 일어나는 동안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플라스미드의 형태는 플라스미드의 기능과 세포 내에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안정된 원형 플라스미드는 세포 내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형태입니다. 반면, 선형 플라스미드는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렵습니다. 

 

오늘은 플라스미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